스컬트라 vs. 레디어스

스컬트라 레디어스 필러 비교
레디어스 와 스컬트라 필러 차이

Clinical and histological comparative outcomes after injections of poly-L-lactic acid and calcium hydroxyapatite in arms: A split side study

안녕하세요~ 이지동안의원 원장 닥터도도입니다.

요즘 피부과와 미용의학 분야에서 ‘생체자극제(Biostimulator)’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특히 폴리-L-락틱산(PLLA)과 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CaHA)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두 가지 대표적인 생체자극제인데요. 오늘은 이 두 제품의 효과와 메커니즘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내용 전체를 읽기 힘드신 분들은 다음 이미지를 참고하세요.

(위 내용이 결론이지만 결과를 도출하기 까지의 과정을 알고 싶다면 계속 읽어주세요!)

목차

연구 개요: 생체자극제 비교 분석

오늘 살펴볼 연구는 “Clinical and histological comparative outcomes after injections of poly-L-lactic acid and calcium hydroxyapatite in arms: A split side study”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같은 환자의 양쪽 팔에 각각 다른 생체자극제를 주입하여 그 효과를 비교한 흥미로운 연구입니다.

이 연구가 특별한 이유는 지금까지 PLLA(폴리-L-락틱산, Poly-L-Lactic Acid)와 CaHA(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Calcium Hydroxyapatite)의 효과를 동일한 환자에서 직접 비교한 연구가 거의 없었기 때문이에요. 두 제품 모두 안면 외 부위에서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미흡했습니다.

연구 방법: 스플릿 시험 설계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 정상 체질량지수(BMI)를 가진 건강한 여성 5명을 대상으로 진행
  • 각 환자의 왼쪽 팔에는 PLLA를, 오른쪽 팔에는 CaHA를 주입
  • 모든 환자는 4-6주 간격으로 총 3회 시술 받음
  • PLLA는 12ml로 희석하여 왼팔에, CaHA는 6ml로 하이퍼희석(hyperdilution)하여 오른팔에 주입
  • 23G 70mm 캐뉼라를 사용하여 피하지방층에 부채꼴 기법(fanning technique)으로 주입
  • 시술 전과 마지막 시술 3개월 후에 사진 촬영 및 팔 둘레 측정
  • 시술 전과 마지막 시술 2개월 후에 조직 검사(생검) 실시

연구자들은 두 제품의 임상적 결과와 조직학적 변화를 모두 분석했습니다. 특히 조직학적 분석에서는 염증 반응, 콜라겐 생성, 탄력섬유 생성 등을 확인했죠.

임상 결과: 어떤 제품이 더 효과적일까?

환자 만족도 설문에 따르면, 5명 중 3명의 환자가 첫 번째 시술 후 오른쪽 팔(CaHA)에서 더 빠른 개선을 느꼈다고 보고했어요. 왼쪽 팔(PLLA)의 결과는 두 번째 시술 이후에야 눈에 띄게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흥미롭게도 치료 종료 시점(마지막 시술 3개월 후)에는 3명의 환자에서 오히려 왼쪽 팔(PLLA)이 더 좋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나머지 2명의 환자에서는 양쪽 팔 간에 눈에 띄는 차이가 없었어요.

이러한 결과는 CaHA가 초기에 더 빠른 효과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PLLA가 점진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제가 실제 임상에서도 관찰하는 패턴과 일치하는 부분이에요.

조직학적 분석: 피부 속 변화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발견은 조직학적 분석 결과였습니다. 생검 표본을 분석한 결과, 두 제품 모두 입자 주변에서 중등도에서 심한 정도의 이물 거대세포 반응(foreign body giant cell reaction)이 관찰되었어요.

주목할 만한 점은:

  1. PLLA와 CaHA 입자 주변에서 유사한 염증 반응이 관찰됨
  2. 두 제품 모두 입자 주변에서만 콜라겐과 탄력섬유 생성이 나타남
  3. 진피층에서는 어떠한 염증 반응이나 섬유 변화도 관찰되지 않음
  4. 생성된 결합 조직의 양에 있어 두 제품 간 차이를 구별할 수 없었음

이는 생체자극제의 작용 기전에 대한 기존 이해와 일부 다른 결과로, 매우 흥미로운 발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의외의 발견: 염증 반응과 콜라겐 생성

이 연구에서 가장 놀라운 발견은 CaHA에 대한 염증 반응이었습니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CaHA가 경미한 염증 반응만 일으킨다고 보고했는데, 이 연구에서는 PLLA와 마찬가지로 중등도에서 심한 정도의 거대세포 반응이 관찰되었어요.

또한 콜라겐과 탄력섬유 생성이 입자 주변에서만 국소적으로 일어났다는 점도 중요한 발견입니다. 이는 생체자극제가 더 넓은 영역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주입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 결과는 생체자극제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재고하게 합니다. 특히 염증 반응과 콜라겐 생성의 관계, 그리고 이것이 실제 임상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요.

닥터도도의 임상 경험과 해석

저희 이지동안의원에서도 PLLA와 CaHA를 자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연구 결과는 제 임상 경험과 상당 부분 일치합니다.

특히 CaHA(레디어스, 갈더마 코리아 키닥터로서 자주 사용합니다)는 초기 볼륨 효과로 인해 즉각적인 개선이 보이는 반면, PLLA(스컬트라, 갈더마 코리아 키닥터로서 자주 사용합니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인 효과 측면에서는 두 제품 모두 효과적이며, 환자의 구체적인 문제와 기대에 따라 적절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두 제품을 병용하여 즉각적인 효과와 장기적인 개선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조직학적 결과와 관련해서는, 이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주입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생체자극제의 균일한 분포가 최적의 결과를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두 제품의 실질적 차이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1. CaHA는 초기에 더 빠른 개선 효과를 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PLLA가 더 나은 결과를 보일 수 있음
  2. 두 제품 모두 피하지방층에 주입했을 때 유사한 정도의 염증 반응과 콜라겐/탄력섬유 생성을 유발함
  3. 조직학적 개선은 입자 주변에서만 국소적으로 일어나며, 진피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4. 최적의 결과를 위해서는 제품의 균일한 분포가 중요함

이 연구는 생체자극제의 작용 메커니즘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넓히고, 더 나은 임상 결과를 위한 최적의 주입 기술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여러분의 피부 개선에 생체자극제가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하시다면, 저희 이지동안의원에서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각 환자의 고유한 상태와 목표에 맞는 맞춤형 치료 계획을 제공해 드릴 수 있으니까요!


이 블로그 포스트는 “Clinical and histological comparative outcomes after injections of poly-L-lactic acid and calcium hydroxyapatite in arms: A split side study”(J Cosmet Dermatol. 2022;21:6727-6733) 논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생체자극제, 폴리엘락틱산, 칼슘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PLLA, CaHA, 스컬트라, 레디어스, 콜라겐생성, 이물반응, 피부탄력, 주름개선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