쥬베룩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가 광노화 색소침착 개선에 미치는 영향

쥬베룩의 광노화 치료 기전

작성자: 도재운 (닥터도도) | 이지동안의원 대표원장 | 작성일: 2025년 3월 23일

A collagen biostimulator improves photoaging pigmentation

바이오스티뮬레이터, 광노화, 색소침착, 피부재생, 피부노화
쥬베룩 콜라겐 주사의 색소침착 개선 메커니즘
쥬베룩의 광도화에 의한 색소침착 개선 효과

들어가며: 광노화 색소침착의 이해

안녕하세요~ 이지동안의원 원장 닥터도도입니다. 오늘은 최신 연구를 바탕으로 광노화 색소침착 개선에 관한 흥미로운 내용을 공유해 드리고자 합니다. 피부과 의사로서 매일 많은 환자분들이 기미(Melasma)나 검버섯(노인 흑자, Senile lentigo)과 같은 색소침착으로 고민하시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여러분도 이런 고민이 있으신가요?

그동안 색소침착 치료는 주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거나 표피에 직접 작용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었는데요. 최근 연구에 따르면 진피(Dermis)의 재생과 콜라겐 생성 촉진이 색소침착 개선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흥미로운 발견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색소침착이 있는 피부는 단순히 멜라닌 과다 생성뿐 아니라 진피의 콜라겐 감소와 노화된 섬유아세포(Fibroblast) 증가와 같은 진피 병리도 함께 나타난다고 합니다.

오늘은 최근 발표된 “A collagen biostimulator improves photoaging pigmentation”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가 어떻게 광노화로 인한 색소침착을 개선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연구는 특히 폴리-DL-락틱산(PDLLA)을 이용한 임상시험 결과를 보여주고 있어 실제 임상 적용에도 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병태생리학: 색소침착의 이면에 있는 진피 변화

기미나 노인 흑자와 같은 광노화성 색소침착은 단순히 피부 표면의 변화가 아닙니다. 표피에서는 멜라닌 생성이 증가하지만, 진피에서는 콜라겐 감소와 섬유아세포의 노화가 동시에 일어나고 있어요. 이런 변화들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색소침착 부위의 진피에서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관찰됩니다:

  • 상부 진피의 콜라겐 섬유 파편화 및 구조 손실
  • MMP2, MMP9 효소 활성 증가로 인한 진피 콜라겐 분해
  • 노화된 섬유아세포에서 분비되는 노화 관련 분비 단백질(SASPs) 증가
  • SDF1, SFRP2, GDF15와 같은 인자들이 표피로 이동하여 멜라닌 생성 촉진

저희 병원에서 색소침착으로 내원하시는 환자분들의 피부를 면밀히 관찰해보면, 대부분 햇빛 노출이 많았던 부위에 색소침착과 함께 콜라겐 감소로 인한 피부 탄력 저하, 주름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광노화로 인한 진피의 변화가 색소침착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부분이죠.

따라서 최신 연구는 색소침착 치료에서 멜라닌 생성 억제와 함께 진피 재생 전략이 동반되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색소침착 치료 시 표피와 진피를 모두 고려하는 접근법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란?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Collagen biostimulator)는 피부에 주입하여 자연스럽게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주입형 필러의 한 종류입니다. 주로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 탄력 개선, 주름 감소, 피부 거칠기 완화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의 작용 원리

  • 1단계: 생분해성 합성 고분자 주입
  • 2단계: 섬유아세포 이동 촉진
  • 3단계: 고분자 주변으로 섬유아세포 활성화
  • 4단계: 콜라겐 합성 증가
  • 5단계: 진피 구조 개선 및 재생
  • 6단계: 노화된 섬유아세포 감소 → SASPs 감소 → 멜라닌 생성 억제

폴리-DL-락틱산(PDLLA)은 현재 다양한 피부과 영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 중 하나입니다. 갈더마의 스컬트라(Sculptra)가 대표적인 PLLA 제품으로, 저는 갈더마 코리아 키닥터(Key Doctor)로서 스컬트라를 다양한 적응증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PDLLA 성분의 바이오스티뮬레이터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런 제품들은 생체분해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여 콜라겐 합성 효과와 함께 안전성도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광노화성 색소침착에 대한 효과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었는데요, 오늘 소개해 드릴 연구에서 그 효과가 검증되었습니다.

연구 디자인: 분할 얼굴 임상시험

이 연구는 4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분할 얼굴 디자인(split-face design)으로 진행되었습니다. 분할 얼굴 디자인이란 한 사람의 얼굴 한쪽은 시험군, 다른 쪽은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개인 간 차이를 최소화하는 연구 방법이죠. 이런 방식은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연구 프로토콜

  • 대상: 기미와 노인 흑자가 있는 40명의 피험자
  • 처치: 얼굴 한쪽 – PDLLA 주사, 반대쪽 – 생리식염수(대조군)
  • 투여 방법: 레이저 보조 마이크로젯 인젝터(Mirajet®)를 이용한 주입
  • 투여 빈도: 2주 간격으로 총 5회 주입(10주 동안)
  • 평가 시점: 치료 완료 후 4주, 8주, 12주 시점에 평가

저도 임상에서 분할 얼굴 시술을 종종 시행하는데, 환자분들에게 치료 효과를 직접 비교해서 보여드릴 수 있어 만족도가 높습니다. 특히 색소침착 치료에서는 좌우 비교가 가능해 효과를 더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요.

이 연구에서는 장비로 측정한 객관적 수치(색도계 L* 값)와 연구자 평가 점수(IGA), 그리고 환자 만족도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를 평가했습니다. 또한 피부 조직검사를 통해 조직학적 변화도 분석했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죠. 실제 임상에서는 조직검사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런 연구 데이터가 큰 도움이 됩니다!

임상 결과: 색소침착 개선 효과

연구 결과, PDLLA 치료는 색소침착 개선에 놀라운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치료 완료 후 4주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특히 8주차부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관찰되었답니다. 여러분,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콜라겐 재생은 즉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주요 임상 결과

  • 색도계 L* 값(밝기 지수) 유의미한 증가 – 처음 1개월부터 시작
  • IGA 점수(전문가 평가) 유의미한 감소 – 특히 8주차부터 확실한 개선
  • 환자 만족도 – 색소침착뿐 아니라 주름과 탄력도 함께 개선
  • 효과 지속성 – 12주 평가 기간 동안 개선 효과 유지

임상 사진을 보면 기미와 노인 흑자 모두에서 PDLLA 치료 측이 명확하게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특히 자외선 감지 카메라(JANUS)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색소침착의 감소가 더 뚜렷하게 관찰됩니다.

저희 병원에서도 바이오스티뮬레이터 시술 후 비슷한 경과를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은 처음 1개월까지는 크게 체감하지 못하다가 2-3개월 경과 시점에서 확실한 개선을 느끼시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항상 환자분들께 “바이오스티뮬레이터는 마라톤과 같아요.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 않더라도 꾸준히 기다리면 더 오래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라고 설명드립니다.

조직학적 분석: 콜라겐 생성과 색소침착 감소

이 연구의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조직학적 분석 결과입니다. 치료 전과 치료 후(마지막 치료 4주 후) 피부 조직검사를 통해 다양한 염색법으로 변화를 확인했는데요, 결과가 정말 놀랍습니다!

조직학적 분석 결과

  • Fontana-Masson 염색: 색소침착 현저히 감소 (착색 영역/전체 표피 영역 비율 17.2% → 4.5%)
  • Masson-Trichrome 염색: 콜라겐 합성 증가 (염색 영역/전체 진피 영역 비율 26.0% → 38.2%)
  • Verhoeff-van Gieson 염색: 탄력섬유 증가 (염색 영역/전체 진피 영역 비율 6.9% → 10.6%)
  • FSP1 면역염색: 섬유아세포 활성 증가 (진피 내 염색 수/mm²)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의 색소침착 개선 기전

  1. PDLLA 주입 → 섬유아세포 활성화 (FSP1 증가)
  2. 활성화된 섬유아세포 → 콜라겐 및 탄력섬유 생성 증가
  3. 진피 구조 개선 → 노화된 섬유아세포 감소
  4. 노화 관련 분비 인자(SASPs) 감소 → 멜라닌 생성 억제
  5. 표피 멜라닌 감소 → 색소침착 개선

저는 키닥터로서 갈더마의 스컬트라(Sculptra)와 같은 바이오스티뮬레이터 제품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 연구 결과는 제가 임상에서 관찰한 경험과 매우 일치합니다. 특히 스컬트라 시술 후 3-6개월이 지난 환자분들에게서 색소침착이 개선되는 효과를 종종 볼 수 있었어요.

중요한 점은 색소침착 개선이 단순한 부가 효과가 아니라, 콜라겐 재생과 진피 개선을 통한 근본적인 메커니즘의 결과라는 것입니다. 이는 향후 색소침착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이라고 생각합니다.

작용 메커니즘: 진피 재생을 통한 색소침착 개선

그렇다면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가 어떻게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걸까요? 이 연구 결과와 기존 문헌을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진피-표피 상호작용을 통한 색소침착 개선 메커니즘

  1. 섬유아세포 활성화: PDLLA가 분해되면서 주변 섬유아세포를 활성화시킴
  2. TGF-β 분비 증가: 활성화된 섬유아세포에서 TGF-β 분비 증가
  3. 세포외기질(ECM) 합성: TGF-β에 의한 콜라겐 및 탄력섬유 생성 촉진
  4. 노화 섬유아세포 감소: 새로운 섬유아세포로 대체되면서 노화 섬유아세포 감소
  5. SASP 감소: SDF1, SFRP2, GDF15와 같은 노화 관련 분비 인자 감소
  6. 멜라닌 생성 억제: 표피로의 멜라닌 생성 촉진 인자 감소
  7. 색소침착 개선: 결과적으로 표피의 멜라닌 감소 및 색소침착 개선

여기서 핵심은 진피-표피 상호작용(Dermal-epidermal interaction)입니다. 표피와 진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이며, 진피의 재생은 표피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실제 임상에서도 이런 원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저는 갈더마 키닥터로서 스컬트라 시술 시 환자분들께 “이 시술은 단순히 볼륨을 채우는 필러가 아니라 피부 내부에서 콜라겐을 만들어 피부 전체의 건강을 개선하는 치료”라고 설명드립니다. 그리고 많은 환자분들이 시술 3-6개월 후 피부 톤과 탄력이 함께 개선되는 것을 경험하고 계십니다.

“콜라겐 재생은 단순히 주름을 개선하는 것을 넘어 피부의 근본적인 건강과 기능을 회복시키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그 효과는 색소침착 개선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임상 적용: 노화성 색소침착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기존의 색소침착 치료는 주로 멜라닌 생성 억제(하이드로퀴논, 트레티노인, 코직산 등)와 각질 턴오버 촉진(필링, 레이저 등)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여기에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를 추가한다면 더 종합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입니다.

색소침착 치료를 위한 통합적 접근법

  1. 1단계: 진단 및 평가
    • 색소침착 유형 분류 (기미, 노인 흑자, 점과성 색소침착 등)
    • 진피 상태 평가 (탄력, 주름, 피부결 등)
  2. 2단계: 표피 타겟 치료
    • 멜라닌 생성 억제 (국소 도포제)
    • 각질 턴오버 촉진 (필링, 레이저 등)
    • 항산화 치료 (비타민 C, 폴리페놀 등)
  3. 3단계: 진피 재생 치료
    • 콜라겐 바이오스티뮬레이터 (PDLLA, PLLA 등)
    • 진피 타겟 에너지 기반 장치 (RF 마이크로니들링 등)
  4. 4단계: 유지 및 예방
    • 자외선 차단 (SPF 50+ 선크림 사용)
    • 주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