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지동안의원 도재운 원장(닥터도도)입니다. 오늘은 얼굴 노화의 해부학적 기전과 병태생리학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주제는 제가 키닥터(Key Doctor)로 활동하며 많은 분들에게 설명해 드리는 내용이기도 한데요, 논문을 바탕으로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얼굴 노화, 광노화, 피부 노화, 안면 노화의 해부학, 안면 주름의 병태생리학, 골격 변화, 안면 근육, 중안면부 노화, 처짐, 피부 탄력, 콜라겐, 엘라스틴, 볼륨 손실, 안티에이징

목차
들어가며: 얼굴 노화의 이해
얼굴의 아름다움은 경조직(뼈)과 연조직(피부, 지방, 근육)의 조화로운 통합에서 시작됩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요소들 간의 균형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노화 과정의 핵심입니다. 사람들은 종종 얼굴에서 나이를 판단하는데, 이는 피부 외관의 변화가 가장 눈에 띄기 때문입니다.
얼굴 노화는 단순히 피부의 문제가 아니라 그 아래 있는 골격 구조, 지방, 근육 등 다층적 요소들의 복합적인 변화라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세 가지 차원에서의 구조적 변화가 궁극적으로 피부 표면에 나타나는 주름과 처짐을 결정짓습니다.
노화의 주요 원인
얼굴 노화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이 크게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중력(Gravity)**: 지속적인 중력의 영향으로 조직이 아래로 처지게 됩니다.
2. **연조직 성숙(Soft Tissue Maturation)**: 지방, 근막 등의 연조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합니다.
3. **골격 리모델링(Skeletal Remodeling)**: 안면 골격이 나이가 들면서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4. **표정근 활동(Muscular Facial Activity)**: 반복적인 표정 움직임이 주름 형성에 기여합니다.
5. **태양광 노출(Solar Changes)**: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피부 변화를 가속화합니다.

그림 1: 얼굴 노화의 주요 원인들과 그 상호작용
골격 구조의 변화
일반적인 믿음과는 달리, 두개안면 골격의 노화는 단순한 위축(atrophy)이 아니라 골격의 확장과 손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대적 변화입니다. 특히 상악골(maxilla)과 하악골(mandible)에서 안면 높이의 감소가 두드러지며, 이는 안면 폭과 깊이의 소폭 증가로도 상쇄되지 않습니다.
리모델링으로 인해 주요 골격 구조 간의 전체 거리가 실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악골에서는 두개안면 골격이 노화됨에 따라 안와(orbit)가 커지고 상악골이 작아집니다. 이로 인해 연조직을 위한 공간이 줄어들어 볼 지방 패드와 피부가 아래로 처지게 되고, 팔자주름(melolabial fold)이 깊어집니다.
⭐ 중요 포인트
이러한 골격 변화가 필러 시술의 핵심 원리입니다! 갈더마의 레스틸렌(Restylane)이나 싱클레어의 엘란쎄(Ellanse) 같은 제품들로 볼륨을 복원해 골격 지지력을 회복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또한 이러한 골격 변화는 코와 안면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마 중앙 부분이 평평해지면서 코-이마 각도가 무뎌지고, 이는 코가 더 길어 보이는 착시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피부 노화의 메커니즘
피부 노화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 연령 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과정
2. **광노화(Photoaging)**: 자외선 노출로 인한 노화 촉진
내인성 노화는 주로 피부 탄력 저하, 미세 주름, 양성 종양 등으로 나타나는 반면, 광노화는 색소 변화(기미, 검버섯), 거친 피부 결, 깊은 주름, 모세혈관 확장 등의 특징을 보입니다.
Glogau는 1994년 광노화된 피부를 4가지 유형으로 분류했습니다:
– **타입 I**: 주름 없음 (20-30대 초반)
– **타입 II**: 움직일 때만 주름 발생 (30-40대)
– **타입 III**: 휴식 시에도 주름 관찰 (50대)
– **타입 IV**: 주름만 있음 (60-70대)
조직학적으로 노화된 피부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보입니다:
1. 표피 두께 감소 및 표피-진피 접합부 평탄화
2. 수분 손실 증가
3. 기저세포의 이형성 증가
4. 진피 위축
5. 탄력섬유의 퇴행성 변화
6. 콜라겐 감소와 구조 변화
7. 미세혈관 감소 및 불규칙화
미세혈관 구조의 변화는 두피 모발 감소와 피부의 창백함을 야기합니다. 또한 피부 표면 온도를 낮추고 물질의 흡수 및 제거 속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실무적 인사이트
피부 노화의 병태생리학적 이해는 치료 전략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저는 동방메디컬(Dongbang Medical)의 엘라스티(Elasty) 같은 실 리프팅 제품을 사용할 때, 피부의 각 층에 따른 접근법을 달리합니다.
안면 근육과 표정주름
얼굴 근육은 얼굴 표정과 감정 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반복적인 수축은 주름 형성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주요 근육과 관련 주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안륜근(Orbicularis Oculi)**: 눈 주위 링 모양의 근육으로, 속눈썹 부분과 눈 주위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강한 수축 시 눈가 주름(crow’s feet)을 형성합니다.
– **눈썹주름근(Corrugator Supercilii)**: 양미간 세로 주름을 만듭니다.
– **비근근(Procerus)**: 코 다리 부분의 가로 주름을 형성합니다.
– **전두근(Frontalis)**: 이마의 가로 주름을 만드는 근육입니다.
– **대관골근(Zygomaticus Major)**: 웃을 때 입꼬리를 위로 당기는 근육입니다.
– **구륜근(Orbicularis Oris)**: 입 주위 방사상 주름 형성에 관여합니다.
보톡스(Botox) 시술 시 안면 근육 이해의 중요성
앨러간의 보톡스(Botox), 휴젤의 보툴렉스(Botulax), 메디톡스의 메디톡신(Meditoxin) 등 다양한 보톡스 제품을 사용할 때, 각 근육의 정확한 위치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결과를 얻는 동시에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부위별 노화 특성
이마와 눈썹 영역
중력, 조직 탄력 감소, 피하 지방 감소, 진행성 골 흡수의 복합적 작용으로 눈썹이 불가피하게 아래로 처지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눈썹 위치는 눈썹 상연에서 점차 아래로 내려와 안와 상연에 위치하거나 그 아래로 내려갑니다.
처진 피부와 약화된 안와 격막으로 인해 안와 지방이 탈출(herniation)하여 눈 주위 지방 주머니(palpebral bags)가 생성됩니다. 이로 인해 눈꺼풀 피부가 과도하게 쌓이고, 눈꺼풀 주름이 강조되며 눈꺼풀 접힘이 무뎌집니다.
중안면부
중안면부 노화는 단순히 피부 문제가 아니라 그 아래 깊은 해부학적 요소들의 변화입니다. 젊은 시절의 안와 주위 연조직은 얕고 좁은 안와로 묘사되며, 아래눈꺼풀에서 볼까지 끊김 없는 볼록한 선을 이룹니다.
하지만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안와는 넓어지고 깊어지며, 볼 지방은 아래로 처져 팔자주름이 되고, 그 뒤에는 볼 함몰이 남게 됩니다. 볼 지방이 처지면서 광대뼈 부위에는 눈밑고랑(malar crescent)이, 내측으로는 비구순 주름(nasojugal fold)이 형성됩니다.
코 영역
노화는 코의 골격, 연골 구조, 그리고 연조직 피복에 변화를 가져옵니다. 노화로 인해 이마 중앙 부분이 평평해지면서 측면에서 보았을 때 코-이마 각도가 무뎌지게 되어 코가 길어 보이는 착시 효과가 발생합니다.
코끝 지지 구조의 약화로 코끝이 점진적으로 처지고, 상•하 외측 연골 간의 부착이 약해져 코가 길어지고 커 보입니다. 턱패드 처짐은 코 돌출과 길이의 착시 효과를 더욱 강화합니다.
턱선과 목 영역
목 노화는 피부, 지방 분포, 광경근(platysma muscle), 그리고 그 아래 뼈/연골 구조의 복합적인 변화로 나타납니다. 광경근의 하방 당김은 젖힘(jowls)을 형성하고 턱선과 턱의 경계를 불분명하게 만듭니다.
광경근 위의 목 피부는 느슨해져 수평 주름이 발생하고, 근육의 수축과 두드러짐으로 인해 수직 섬유성 띠가 형성됩니다. 광경근의 전방 가장자리가 분리되고 긴장도를 잃어 “칠면조 목(turkey neck)” 변형이 나타납니다.
이런 변화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목-턱 각도(cervicomental angle)가 무뎌지게 됩니다.
⭐ 가장 중요! 각 부위별 맞춤 접근이 필요합니다
턱선과 목 영역은 단일 시술로 해결하기 어려운 부위입니다. 갈더마의 디스포트(Dysport)로 광경근을 이완시키고, 멀츠의 레디어스(Radiesse)로 턱선을 강화하며, 싱클레어의 실루엣소프트(Silhouette Soft)로 조직을 리프팅하는 복합적 접근이 효과적입니다.
마치며
얼굴 노화는 중력, 연조직 성숙, 골격 리모델링, 표정근 활동, 그리고 광노화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각 요소는 독특한 흔적을 노화된 얼굴에 남기지만, 이들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골격, 근육, 연조직, 그리고 피부는 노화 과정에 의해 개별적으로 영향을 받지만, 함께 작용하여 얼굴 노화를 초래합니다. 따라서 효과적인 안면 노화 치료를 위해서는 이러한 다차원적 특성을 이해하고 종합적인 접근법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참고 문헌
1. Bartlett SP, Grossman R, Linton A, et al: Age-related changes of the craniofacial skeleton: An anthropomorphic and histologic analysis. Plast Reconstr Surg 90:592, 1992
2. Bhawan J, Andersen W, Lee J, et al: Photoaging versus intrinsic aging: A morphologic assessment of facial skin. J Cutan Pathol 22:154, 1995
3. Braverman IM: Elastic fiber and microvascular abnormalities in aging skin. Dermatol Clinic 4:391, 1986
4. Gilchrest BA: Skin aging and photoaging: An overview. J Am Acad Dermatol 21:610, 1989
5. Glogau RG: Chemical peeling and aging skin. J Geriatr Dermatol 2:5, 1994
6. Pessa JE, Zadoo VP, Yuan C, et al: Concertina effect and facial aging: Nonlinear aspects of youthfulness and skeletal remodeling and why perhaps infants have jowls. Plast Reconstr Surg 103:635, 1999
7. Zimbler MS, Kokoska MS, Thomas JR: Anatomy and pathophysiology of facial aging. Facial Plast Surg Clin North Am 9(2):179-18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