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ological basis for poly-L-lactic acid-induced augmentation
안녕하세요~ 이지동안의원 원장 닥터도도입니다.
요즘 많은 분들이 노화로 인한 얼굴 볼륨 손실과 주름 개선을 위해 다양한 필러 시술을 찾으시는데요. 그중 스컬트라(Sculptra®)는 특별한 방식으로 작용하는 제품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오늘은 폴리-L-락틱산(Poly-L-Lactic Acid, PLLA)의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함께 살펴보려고 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은 스컬트라의 역사를 비롯하여 전반적인 부분이었다면 이번에는 이론적인 부분을 좀 더 중점적으로 들어갑니다. 집중!)



목차
스컬트라란 무엇인가?
스컬트라는 식물에서 유래한 폴리-L-락틱산(PLLA)을 주성분으로 하는 주사제로, 이미 유럽에서는 14년 이상 사용되어 왔습니다. 미국 FDA에서는 2004년 HIV 관련 안면 지방위축증 치료제로, 2009년에는 노화 관련 주름 치료를 위한 미용 목적으로 승인을 받았죠.
다른 필러들과 달리 스컬트라는 즉각적인 볼륨 효과보다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여 피부 탄력과 볼륨을 개선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바로 이 ‘자연스러운 콜라겐 생성’이 오늘 살펴볼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연구 배경: PLLA의 생체 반응
오늘 함께 살펴볼 논문은 “The biological basis for poly-L-lactic acid-induced augmentation”(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15)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PLLA가 실제로 어떤 생물학적 과정을 통해 피부 볼륨을 증가시키는지 자세히 분석했습니다.
연구팀은 21명의 건강한 폐경 후 여성 지원자를 대상으로 상완(팔 윗부분)에 PLLA를 주입하고 그 효과를 20개월 동안 관찰했습니다. 이를 통해 PLLA가 어떻게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고 피부 조직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분자생물학적, 조직학적으로 확인했죠.

PLLA의 생물학적 작용 메커니즘
PLLA가 피부에 주입되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연구 결과는 흥미롭습니다!
- 이물질 반응(Foreign Body Reaction)의 시작 PLLA 입자가 피부에 주입되면 신체는 이를 ‘이물질’로 인식합니다. 조직검사 결과, PLLA 주변으로 대식세포(Macrophage)와 림프구 침윤이 관찰되었고, 대식세포들은 이물거대세포(Foreign Body Giant Cells)를 형성했습니다.
- 세포 침윤 패턴 면역형광염색법으로 확인해본 결과, PLLA 입자 바로 옆에는 CD68+ 대식세포가 위치하고, 그 바깥층에는 CD90+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배열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신체가 PLLA를 둘러싸기 위한 캡슐 형성을 시작했다는 증거입니다.
- 콜라겐 생성 자극 가장 주목할 점은 콜라겐 생성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PLLA 주입 2주 후부터 콜라겐 타입 I과 타입 III의 mRNA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콜라겐 타입 III이 PLLA 입자 바로 옆에 형성되고, 콜라겐 타입 I은 캡슐 외부에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 성장인자 활성화 TGF-β1(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과 TIMP1(Tissue Inhibitor of Matrix Metalloproteinase 1)의 mRNA 발현도 유의미하게 증가했습니다. 이 성장인자들은 섬유아세포의 활성화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 형성 PLLA 주변에서는 α-SMA(alpha Smooth Muscle Actin) 양성 구조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근섬유아세포와 신생혈관 형성을 의미합니다. 근섬유아세포는 콜라겐을 더 효과적으로 생성하고 조직을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 생성 과정 분석
PLLA 주입 후 콜라겐 생성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 초기 반응 (0~2주)
- 대식세포가 PLLA를 인식하고 이물반응 시작
- PDGF(Platelet-Derived Growth Factor)와 CTGF(Connective Tissue Growth Factor) 발현 증가
- 섬유아세포 이동 및 증식 시작
- 중기 반응 (2주~3개월)
- 콜라겐 타입 III이 PLLA 입자 주변에 형성
- 근섬유아세포 분화 및 활성
- TGF-β1 발현 증가
- 후기 반응 (3개월~1년 이상)
- 콜라겐 타입 I이 캡슐 외부에 형성
- 지속적인 콜라겐 리모델링
- 조직 재구성 및 볼륨 개선

놀라운 점은 PLLA 입자가 생각보다 훨씬 오래 조직에 남아있다는 것입니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PLLA가 9개월 또는 30개월 후에 완전히 분해된다고 보고했지만, 이 연구에서는 마지막 주입 후 28개월이 지났음에도 PLLA 입자를 여전히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PLLA의 효과가 생각보다 오래 지속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임상적 의미와 장점
이 연구 결과가 실제 임상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자연스러운 볼륨 개선 스컬트라는 ‘틀을 제공’하고, 우리 몸이 자체적으로 콜라겐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볼륨 개선 효과를 제공합니다. 이는 히알루론산 필러와는 차별화된 장점입니다.
- 지속적인 효과 PLLA가 생각보다 오래 조직에 남아있기 때문에, 콜라겐 생성 자극 효과도 오래 지속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마지막 주입 후 10개월까지도 콜라겐 mRNA 발현이 유의미하게 증가한 상태였습니다.
- 점진적인 개선 스컬트라는 즉각적인 볼륨 효과보다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개선되는 효과를 보입니다. 이는 마치 자연스럽게 나이가 들면서 볼륨이 되돌아오는 듯한 효과를 줍니다.
- 전체적인 피부 질감 개선 콜라겐 생성이 증가하면서 피부 탄력과 질감도 함께 개선됩니다. 특히 α-SMA 양성 구조 증가는 피부 탄력 개선에 기여합니다.

닥터도도의 임상 경험
저희 이지동안의원에서도 갈더마 코리아의 키닥터(Key Doctor)이자 트레이너(Local Mentor Trainer)로서 스컬트라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 연구 결과는 제가 임상에서 경험한 내용과 일치합니다.
특히 스컬트라는 다음과 같은 환자분들께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 자연스러운 볼륨 개선을 원하시는 분들 부어 보이는 듯한 필러 효과보다 자연스러운 개선을 원하시는 분들께 스컬트라는 좋은 선택입니다.
- 전체적인 얼굴 리프팅이 필요한 분들 부분적인 주름 개선보다 전체적인 얼굴 리프팅이 필요한 경우, 스컬트라는 단순 볼륨 보충을 넘어 피부 탄력까지 개선시켜 드립니다.
- 장기적인 효과를 원하시는 분들 일반 필러보다 오래가는 효과를 원하시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서 점진적으로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다만, 즉각적인 효과를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히알루론산 필러와 병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필러로 즉각적인 볼륨을 개선하고, 스컬트라로 장기적인 콜라겐 생성을 자극하는 방식이죠.
요약: 왜 스컬트라인가?
오늘 살펴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스컬트라(PLLA)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생체 자극 필러로서의 특성: 단순한 볼륨 채움이 아닌, 신체의 콜라겐 생성을 자극
- 자연스러운 리프팅 효과: 캡슐화와 콜라겐 리모델링을 통한 자연스러운 개선
- 지속적인 효과: PLLA 입자가 오래 남아있어 지속적인 콜라겐 생성 자극
- 다양한 개선 효과: 볼륨 개선뿐만 아니라 피부 탄력과 질감 개선

물론 모든 환자분들께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으며, 개인의 피부 상태와 나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스컬트라가 단순한 필러를 넘어 생체 자극 필러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과학적으로 입증해 주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피부 고민에 스컬트라가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을지 궁금하시다면, 언제든 이지동안의원으로 상담 문의 주세요!
이 블로그 포스트는 “The biological basis for poly-L-lactic acid-induced augmentation”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2015)와 “Effectiveness and Safety of Sculptra Poly-L-Lactic Acid Injectable Implant in the Correction of Cheek Wrinkles” (J Drugs Dermatol, 2024) 논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폴리-L-락틱산, PLLA, 스컬트라, 콜라겐생성, 생체자극필러, 주름개선, 볼륨회복, 안티에이징, 리프팅효과, 피부탄력